[Bronze V] 꼬마 정민 - 11382
11382번: 꼬마 정민
첫 번째 줄에 A, B, C (1 ≤ A, B, C ≤ 1012)이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
www.acmicpc.net
성능 요약
메모리: 14192 KB, 시간: 120 ms
분류
구현(implementation), 사칙연산(arithmetic), 수학(math)
문제 설명
꼬마 정민이는 이제 A + B 정도는 쉽게 계산할 수 있다. 이제 A + B + C를 계산할 차례이다!
입력
첫 번째 줄에 A, B, C(1 ≤ A, B, C ≤ 10¹²)이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
출력
A+B+C의 값을 출력한다.
답 : Scanner 가 입력 방식은 느리나 타입의 변환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했었으나
한 줄을 쉽게 읽고 입력 방식이 빠른 BufferedReader을 차용했다.
그리고 띄어쓰기 단위로 있는 토큰을 인식하기 위해 StringTokenizer를 사용했다.
입력된 값을 BufferedReader의 변수명인 br에 담고
readLine()로 한 줄을 읽어 StringTokenizer의 변수인 st에 넣어준다.
받은 값들을 Token단위로 3개의 String 값으로 입력 받고,
parseLong을 통해 문자열을 Long 타입으로 변환해준 뒤 각 값을 더해준다.
숫자들의 범위는 A, B, C(1 ≤ A, B, C ≤ 10¹²) 2의 12제곱까지 있기 때문에
int를 초과하므로 long으로 입력받아야한다.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long a = Long.parseLong(st.nextToken());
long b = Long.parseLong(st.nextToken());
long c = Long.parseLong(st.nextToken());
System.out.print(a+b+c);
}
}
'algorithm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시험 성적 - 9498 Java[자바] (0) | 2022.12.01 |
---|---|
[백준] 두 수 비교하기 - 1330 Java[자바] (2) | 2022.12.01 |
[백준] 사칙연산 - 10869 Java[자바] (0) | 2022.12.01 |
[백준] A/B - 1008 Java[자바] (0) | 2022.11.30 |
[백준] A-B - 1001 Java[자바] (0) | 2022.11.30 |